태그된 제품에 대해 수수료를 받습니다.
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이기도 하고 컴파일러 언어이기도 하다.
인터프리터
인터프리터 언어는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실행한다.
이는 대화형 셀이나 스크립트 파일을 실행할 때 일어난다.
인터프리터를 사용하면 코드를 작성한 후에 즉시 실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.
컴파일러
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.
파이썬의 경우,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바로 실행 파일로 변환하지 않는다.
바이트 코드로 변환한 후 이를 파이썬 가상 머신(Python Virtual Machine)에서 실행한다.
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파이썬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내부적으로 발생한다.
바이트 코드 파일은 .pyc 확장자를 가지며, 파이썬이 소스 코드를 한 번 컴파일하고 나면,
동일한 코드에 대해 다시 컴파일하지 않고 이 파일을 사용하여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다.
따라서 파이썬은 실제로는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혼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.
코드 -> 바이트 코드로 컴파일 -> 인터프리터가 이를 실행
이러한 구조는 파이썬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만들어 주며, 사용자가 코드를 쉽게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.
태그된 제품에 대해 수수료를 받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