🔥 마케팅

하이퍼캐주얼 vs 하이브리드캐주얼 — 소규모 개발팀이 선택할 수 있는 두 갈래 전략

gameuiux 2025. 5. 23. 04:26
728x90
반응형

소규모 개발팀에게 있어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두 가지 주요 전략이 존재한다.
바로 하이퍼캐주얼하이브리드캐주얼이다.

 

하이퍼캐주얼: 빠른 제작, 빠른 폐기

하이퍼캐주얼(Hyper-Casual) 게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:

  • 제작 속도: 기획부터 출시까지 일주일 내외도 가능
  • 조작법: 한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매우 단순한 방식
  • 게임 구조: 짧은 플레이 세션 (보통 30초~2분), 즉시 리스타트
  • 수익 구조: IAA (광고 기반 수익)이 주력, 게임 내 결제 거의 없음
  • 운영: 라이브 서비스보다는 출시 후 유지 관리만 간단히

이 장르는 Voodoo, SayGames, Lion Studios 같은 퍼블리셔가 잘 보여준다.
목표는 ‘처음 5초 안에 눈길을 끄는 광고’이고, 이후 Retention(재접속률) 1일차/7일차와 eCPM 수익성이 판단 기준이 된다.

🎯 소규모 팀이 빠르게 시장 반응을 실험해보기엔 가장 적합한 구조다. 실패해도 비용이 적게 들고, 성공하면 대량 수익도 노려볼 수 있다.

 


하이브리드캐주얼: 중간 난이도, 장기 수익

하이브리드캐주얼(Hybrid-Casual) 게임은 하이퍼캐주얼의 간편함에, 부분적인 과금 요소(IAP)나 성장 시스템을 더한 형태다:

  • 플레이 구조: 기본은 쉽지만 점차 성장, 강화, 수집, 반복 플레이를 유도
  • 조작법: 직관적이지만 단순 반복은 아님 (예: 유닛 강화, 장비 수집 등)
  • 수익 구조: 광고 + 인앱결제 병행, 유저 LTV 증가 유도
  • 운영 방식: 라이브 업데이트 및 점진적인 콘텐츠 추가 필요

예시로는 Archero, My Little Universe, Mob Control, Gold & Goblins 등이 있다.

🎯 광고만으로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국가(예: 한국, 일본)에서도 유효하며, 중장년층 타겟에도 잘 어울린다.

 


어떤 전략이 좋을까?

 

항목 하이퍼캐주얼 하이브리드캐주얼
개발 속도 매우 빠름 (1~2주) 중간 (1~3개월)
수익 구조 광고 (IAA) 중심 광고 + 결제 (IAA + IAP)
개발 리소스 적음 UI/시스템 설계 필요
타겟 전 연령, 10초 집중 유저 반복성/성장성 좋아하는 유저
예시 Helix Jump, Stack, Run Race 3D Archero, Gold & Goblins, Mob Control
 
 

결론: "작게 시작하고, 빠르게 실험하라"

소규모 게임 팀이라면,

  • 하이퍼캐주얼로 빠르게 시작해서 시장 반응을 본 후
  • 수익성과 유저 반응이 긍정적이라면, 해당 구조를 하이브리드캐주얼로 확장하는 것이 유력한 전략이 될 수 있다.

특히 중장년층 타겟, 낮은 정보력, 높은 경제력이라는 특수한 시장은,

  • 느긋한 속도,
  • 자동 성장,
  • 단순 반복과 보상 시스템
    같은 요소와 궁합이 좋기 때문에 이 전략은 계속 유효할 것이다.
728x90
반응형